"/>"/>전기안전 Archives - 10 중 8 번째 페이지 - (주)케이에스타

전기안전

GPT와 CLR

GPT와 CLR 1. 개요 1) GPT와 CLR은 비접지 계통의 지락사고를 감지하여 지락방향 계전기(SGR, DGR)를 동작시켜 사고선로를 계통으로부터 분리하고자하는 목적으로 ZCT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2) GPT는 지락사고시 영상전압을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3권선식의 변압기이며 1차측을 Y결선하고 그 중성점을 대지에 직접접지하고 3차측 권선을 개방3각 결선하여 사용한다. 3) CLR은 GPT의 3차권선에 연결하여 제3고조파 전압이 개방 델타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지락방향계전기에 […]

GPT와 CLR 더 읽기"

변압기의 과부하 운전

변압기의 과부하 운전 1. 개요 1) 변압기는 정격연속출력을 범위내에서 운전하여야 하나, 갑작스런 부하의 증가로, 정격연속출력을 초과하여 운전할 경우도 있다. 2) 과부하 운전 적용시 변압기의 과부하 운전조건과 금지조건 등을 충분히 숙지하여 열화 및 수명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 변압기 수명과 온도와의 관계(A종 변압기의 경우) – 변압기는 주위온도 25도로 일정하고, 정격부하로 연속사용시 수명을 30년으로 추정할

변압기의 과부하 운전 더 읽기"

변압기의 각변위

변압기의 각변위 1. 정의 : 각변위란, 전압백터도에서 고압측 중성점 O와 U에 그은 선 OU와 저압측 중성점 o에서 u에 그은 선 ou의 각도치를 말하며, 고압을 기준으로 해서 저압이 시계방향이면 지연, 반시계방향이면 진행이라고 한다. 2. 백터기호의 표시 1) 고압측 OU를 시계장침, 저압측 ou를 시계단침이라고 간주한다. 2) 장침이 12시 위치에 있을 때, 단침의 시수와 고압, 저압 권선의 기호로

변압기의 각변위 더 읽기"

변압기의 탭(TAP)

1. 탭의 조정 목적 1) 전력의 경제적인 운영을 위한 전력조류 제어 2) 배전선로의 정전압 유지 3) 부하말단의 정격전압의 공급 4) 전력기기의 작업량에 의한 전류조정 2. 변압기의 탭 전압 1) 전력용 변압기는 표준규격이 있어 표준전압의 85~115%의 사이에 5%마다 탭이 설치된다. 2) 고압측에 탭이 설치되는 이유는 탭을 꺼내기가 용이하고, 탭 전환시 전류가 작기 때문이다. 3. 구성기기 1)

변압기의 탭(TAP) 더 읽기"

변압기 시험

변압기 시험 1. 극성시험 : 변압기가 감극성인지, 가극성인지 확인하는 시험 2. 권수비 측정 : 권수비 측정기(Turn Ratio Meter)로 변압기 1, 2차 간의 권수비를 측정한다. 보통 1:1 ~ 1:150 정도의 RANGE를 가진 것이 사용된다. 3. 무부하시험 : 무부하손(철손)과 여자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 무부하시험을 행한다. 보통 저압측에 정격주파수의 정격전압을 가하여 행한다. 4. 단락시험 : 동손과 임피던스 전압을 측정하기

변압기 시험 더 읽기"

기술사의 정의와 직무

1. 기술사의 정의와 직무 기술사법 제2조에 의하면 해당 기술분야에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응용능력을 보유한자로서 국가기술자격법 제10조의 규정에 의하여 기술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2. 기술사의 직무 1) 기술사법 제 3조 – 기술사는 과학기술에 관한 전문적인 응용능력을 필요로 하는 사항에 대하여 계획, 연구, 설계, 분석, 검사, 시험, 시공, 감리, 평가, 진단, 사업관리, 기술판단, 기술중재 또는

기술사의 정의와 직무 더 읽기"

전력용 콘덴서의 개폐현상

전력용 콘덴서의 개폐현상 1. 개요 – 콘덴서 개폐시 충전전류에 의한 과도 돌입전류, 재점호 등의 이상전압이 발생. 이러한 콘덴서의 개폐현상에 견딜 수 있도록 적합한 차단장치를 선정. 2. 콘덴서 개폐장치의 요구성능 1) 투입 시 과대한 돌입전류에 견디고 개방시 회복전압에 견디어 재점호에 의한 과전압현상이 없을 것 2) 전기적 기계적으로 다빈도 개폐에 견디고 보수점검의 주기와 수명이 길 것 3)

전력용 콘덴서의 개폐현상 더 읽기"

과부하 차단시 TRV(Transient Recovery Voltage) 발생현상에 따른 개선대책과 차단기 선정시 고려사항

과부하 차단시 TRV(Transient Recovery Voltage) 발생현상에 따른 개선대책과 차단기 선정시 고려사항 1. 개요 – 차단기 차단직후 양단자간 또는 차단점간에 회복전압이 나타나며 단락고장 시 2가지 성분으로 구성. 1) 전류 차단직후에 나타나는 과도회복전압(TRV), 2) TRV 진동이 진정된 후 상용주파수와 같이 진동하는 상용주파회복전압(PFRV) 2. 차단시 회복전압(RV : Recovery Voltage)의 분류 1) 상용주파회복전압(PFRV : Power Frequency Recovery Voltage) :

과부하 차단시 TRV(Transient Recovery Voltage) 발생현상에 따른 개선대책과 차단기 선정시 고려사항 더 읽기"

초전도 기술의 개발동향과 전력분야에서의 기여방향

초전도 기술의 개발동향과 전력분야에서의 기여방향 1. 개요 – 초전도체의 특징은 임계온도 이하가 되면 갑자기 전기저항이 0이된다. 2. 초전도체의 일반적인 특징 1) 임계온도 (1) 전기저항이 갑자기 0이 되는 전이온도를 임계온도라고 한다. (2) 초전도체(Superconductor)는 적절한 조건이 되면 전기저항이 완전히 사라져 도체 중에서도 가장 전도율이 큰 물질이 된다. (3) 보통 어떤 물체에 전류가 흐르면 그 물체에는 전류의 제곱과

초전도 기술의 개발동향과 전력분야에서의 기여방향 더 읽기"

파워퓨즈 선정시 고려사항

파워퓨즈 선정시 고려사항 1. 개요 – 퓨즈는 차단기 대신이라기 보다는 차단기, 릴레이, 변성기 3가지 역할. 경제적이며 릴레이와 변성기를 생략하여 소형경량으로 할 수 있는 장점 2. 퓨즈의 기능과 역할 1)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전 – 과도전류, 과부하전류에는 용단되지 않음 2) 일정값이상의 과전류 차단 3) 변압기 회로의 고장전류 차단 4) 전동기, 제어장치 회로의 고장전류 차단 5) 고압 콘덴서

파워퓨즈 선정시 고려사항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