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용어
사이리스터 :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이름은 ‘gas thyratron’의 thyratron과 트랜지스터의 합성어이다. 흔히 사이리스터라고 불리는 소자는 그 일종인 SCR을 지칭한다.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整流素子)를 말하며, 사이리스터(thyristor) 라고도 한다. 특수한 반도체(半導體) 정류 소자로서, 소형이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대전력(大電力)을 미소한 압력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단단하므로 릴레이 장치, 조명 ‧ 조광(調光) 장치, 인버터, 펄스 회로 등 대전력의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트랜지스터로는 할 수 없는 대전류, 고전압의 스위칭 소자(素子)로서 급속히 보급되었다.
코로나 임계전압 : 문턱전압은 전류의 흐름이 변하는 전압의 임계점을 의미. 문턱전압은, MOSFET 상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던 상태가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반전되는 시점의 전위장벽인 전압,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문턱전압으로 인한 저항치는 급격히 감소. 한강 댐의 예로 댐의 상단까지 물이 차지 않으면, 댐 반대쪽으로는 물이 흐르지 않지만 저장된 물의 높이가 댐보다 높아지면, 물이 흘러 넘쳐 반대쪽으로 흐른다. 전류가 물이라면, 댐의 상단 높이가 문턱 전압(Vth)인 셈
인덕턴스 : 전선이나 코일에는 그 주위나 내부를 통하는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작용이 있으며, 이 작용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을 인덕턴스라 한다. 또, 자속이 코일 자신의 전류에 의한 것일 때는 자기 인덕턴스라 하고, 다른 전선이나 코일의 전류에 의한 것일 때는 상호 인덕턴스라 한다. 이들의 크기 단위는 모두 헨리(기호 H)이다.
자속 : 어떤 표면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의 수에 비례하는 양.
자기력선 : 자석 등이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선으로 페러데이가 고안.
여자전류 : 변압기 2차단에 유기전압을 발생시키는 최소한의 전류, 변압기 철심은 설계 포화 자속 이상이면 포화되므로 여자임피던스가 매우 작아져서 정상전류 수배~수십배의 여자전류가 흐른다.
수용률 : 모든 전력기기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
부등률 : 최대 수용전력의 발생시각
부하율 : 어느 일정기간중의 부하변동의 정도
1. 무부하손(=철손)
1) 히스테리시스손 : 자계의 교번에 따른 자구의 재배열에 의한 손실
2) 와류손 : 철심(鐵心) 표면을 흐르는 맴돌이 전류가 도체의 저항 때문에 줄열(Joule熱)이 발생하여 생기는 전력 손실, 맴돌이 손실
2. 부하손(=동손)
1) 권선의 직렬저항에 의한 저항손
2) 도체 내의 와전류에 의한 와전류손
3) 권선 이외의 누설자속에 의한 표류손
영상전압 : 3상 계통의 불평형사고(지락사고)에 발생
피뢰기 제한전압 : 방전 중 대지와 피뢰기 단자간에 나타나는 전압
피뢰기 정격전압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상용주파수 교류의 최고전압(실효치)
규악접촉전압 : 특정한 외적영향조건에서 인축에 악영향을 주는 것 없이 무한시간 허용가능한 최대 접촉전압
임피던스 :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값이다. 임피던스의 값은 교류 회로의 전압과 전류의 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류 전압의 진동수에 의존
변압기의 영상임피던스 : A,B,C상을 일괄하고, 이것과 대지간에 단상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단상교류 전류가 흘러가는 범위가 영상회로, 단상전류를 제한하는 임피던스가 영상임피던스
임피던스 전압 : 임피던스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변압기의 2차측을 단락시키고 1차측에 전압을 가해 단락한 2차측에 정격전류가 흐를 때 1차 측 전압
리액턴스 : 저항, 코일, 캐패시터 (RLC)로 구성된 회로가 교류에서는 코일과 캐패시터도 일종의 저항값을 갖게 되며, 코일과 캐패시터의 저항은 각각 유도성 리액턴스와 용량성 리액턴스라고 불린다.
IEC 60364의 감전보호체계
ELV (Extra Low Voltage) : 전압이 AC 50 V, DC 120 V 이하의 특별저전압을 말하며 TR의 접지와 1/2차 절연성 여부를 가지고 SELV, PELV, FELV로 나뉜다. 즉, SELV( IEC에서는 Separated Extra-Low Voltage (separated fromearth), BS EN 60335에서는 Safety Eextra Low Voltage(안전특별저전압)으로 표기))는 1차와 2차가 절연되어있고, 비접지 방식.
PELV (Protected Extra Low Voltage) : 1차와 2차가 절연되어있고, 접지 방식
FELV(Functional Extra Low Voltage) : 1차와 2차가 절연되지 않은 것 (단권 변압기)을 말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AC 50 V를 초과하는 110 V, 220 V, 380 V 등의 저압전로는 모두 1 ㏁이상의 절연성능을 유지하여야 한다
한류저항(CLR) : 비접지계통에서 지락사고시 SGR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류를 발생시키고 제 3고조파 전압발생을 억제 또는 이상전위 진동을 억제함. 중성점 불안정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
한류리액터 : 전기 송배전, 급전 선로 따위의 전력 회로에서, 단락(短絡) 사고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리액터. 기동, 동기 따위의 조작 상태에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
분로리액터 : 장거리 송전선에서 송전선의 충전 전류를 없애기 위하여 송전단 또는 수전단에 설치하는 리액터이다.
초전도 한류기 : 전력계통에서 단락 및 지락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해 초전도 기술을 접목시킨 전력기기로 정상 상태에서는 전력손실 및 전압강하 발생이 없고 사고 상태에서는 스스로 사고를 감지해서 자동으로 계통의 임피던스를 증가시켜 사고전류를 허용치 이하로 제한
영상전압 : 변압기의 중성점과 부하의 중성점간의 전압
접지계수 : A상 1선지락 시 건전상 대지전위 상승에서 B,C 상의 전압이 얼마만큼 올라가는지의 계수
기전력(전압) : 전지나 발전기에서 전압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주는 능력, 단위는 전압
*전기회로에 기전력(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생성되는 것 처럼 보이고, 자기회로에 기자력(전류)가 가해지면 자속이 생성.
기전력은 방향의 개념이 없고 시간과 크기의 개념만 존재. 기자력은 시간, 크기, 방향성 개념을 갖는다
여자전류 : 코일간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전류
전류밀도 :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 전계와 관련
전속밀도 : 도체에 작용하는 자계의 밀도
자속(Magnetic flux) : 어떤 가상의 곡면에 작용하는 총 자기력을 나타내는 물리량.
자속밀도 : 균일하게 자화된 재료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자속. 자속의 방향과 수직인 단위 면적당 자속선의 수를 의미하며, 자계의 세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단위(SI)는 테슬라(T:Tesla) 또는 웨버(㏝/㎡)를 사용한다. 자속밀도 B는 자계의 세기H , 투자율 μ와의 사이에B=μH의 관계가 있다.
자계(magnetic field) : 변압기에서 코일을 감아 높으면, 옆의 코일로 자속이 흘러 옆에 코일에 전기가 흐름. 코일은 실제 닿지 않음. 코일이 닿지 않아도 전기가 흐르게 하는 힘. 이 자계의 밀도를 전속밀도
자기장 : 자석이나 전류, 변화하는 전기장 등의 주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으로 자계 또는 자장이라고도 한다.